* 從殺格

                         종살격.jpg

1. 인수 運

眞從格일 경우는 완전 파격이 되어 大凶이며, 假從格은 日主의 세력의 정도에 따라 殺印相生이 되어 조화격의 모습을 형성하므로 吉運이 될 수도 있다.

2. 견겁 運

완전한 파격을 형성하여 殺旺身衰, 旺身觸犯이 된다. 단 假從格에서는 인수의 구성에 따라 왕신촉범을 면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변격으로 조화격화 해석할 수도 있다.

3. 식상 運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는데, 그 하나는 재성이 충실하여 相生으로 통관이 되고 있는 경우로 희신이 되며, 또 하나는 재성이 無氣하여 용신인 관살을 직접적으로 剋하는 경우로 凶神이 된다. 그러므로 무조건 吉凶을 판단하지 말고 사주 원국의 구조와 재성의 역량에 따라 통변을 달리해야 하며, 비록 喜神의 작용을 한다 해도 상관적 의미는 항상 존재하므로 자신의 과한 행동을 주의해야 한다.

4. 六親 解釋(육친 해석)

從 한곳이 자신이 되며 육친의 통변적 배열이 바뀐다. 일반적인 해석에서는 본래의 日主를 자신으로 놓고 육친간의 喜忌를 논하지만 從格에서는 從하여 간 곳이 자신이 되니 남자의 경우는 日主가 妻宮이 되고 여자의 경우는 食傷이 남편이 되어 해당 運이 왔을 때 오히려 부부간의 불화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즉 파격 時에 자신의 주장이 강해져 문제를 발생시킨다고 생각해도 되겠다.

예)

乙 乙 辛 辛                                                   乙 丙 丁 戊 己 庚

酉 酉 丑 巳                                                   未 申 酉 戌 亥 子

乙木이 季冬에 生하고 地支가 완전한 金局을 이루었는데 天干에 두 개의 辛金이 투출하여 從殺이 참다우니라. 戊戌運에 과거에 급제하여 翰苑에 있었으며 丁酉, 丙申運에 火는 截脚이고 金은 得地하여 벼슬이 계속 올랐으나 乙未運에 金局을 冲破하고 木이 뿌리를 내려 목숨을 거두었느니라.                                                     [滴天隨 從象篇]

 

1.日干 : 乙木

丑月의 乙木이 辛金에 沖剋을 당하고 地支에 뿌리를 얻지 못 하였으니 이미 얼어 죽은 잡초에 불과하여 조화격을 이루지 못한다.

2.旺者 : 金

丑月의 金은 墓庫(묘고)라 하나 地支 전체가 金局을 이루니 丑土 또한 金으로 변하여 그 旺함이 極에 이르고 있다

3.體性 : 從革之象

1)燥土生金 : 金(○) 火(×)

본 명조에서 火金에 대한 견해를 두 가지로 접근해 볼 수 있겠다. 그 하나는 旺한 金을 火로 견제해야 하는데 너무 약하여 이미 꺼져버린 불꽃으로 보는 것과, 또 하나는 巳酉丑으로 三合局이 형성되면서 巳中의 丙火가 丑中의 癸水를 암암리에 건조시키며 水火가 서로 상쇄되니, 이미 전 공정이 완성된 도자기의 형상으로 보는 것이다.

2)추수지상 : 金(○) 木(×)

뿌리 없는 日干 乙木이 沖剋을 당하니 이미 죽어있어 사용 불능이다.

3)세수지상 : 金(○) 水(×)

丑月로 겨울이라 어느 정도의 水氣를 인정해야 하지만 兩 酉金이 燥金으로 巳酉丑 三合을 이루니 巳中의 丙火와 어우러 져 丑 中의 癸水는 이미 건조되었다.

4)종혁지상 : 一氣格

(1)식상 : 水(×)

(2)재성 : 木(×)

(3)관살 : 火(×)

食, 財, 官인 水, 木, 火 氣의 작용력이 모두 없으니 깨끗한 從革之象을 이룬다.

 

4.기세적 격국 용신

     종살격예.jpg
1)조화격

(1)官殺이 旺한 경우는 제일 먼저 印綬를 取用하여 殺印相生으로 日主를 살려야 한다. 그러나 인수에 해당하는 水氣가 없으며 비록 水運이 온다 해도 無根인 日主를 살리지 못하므로 합당치 못하다.

(2)두 번째로 肩劫으로 상대하여 조화를 이루는 구성이 있는데 日主에 해당하는 木은 이미 죽어있으므로 역시 조화격을 이루지 못한다.

2)化, 從格

(1)化格

日干과 合하는 세력이 없으니 化格의 구성이 못된다.

(2)從格

日干이 홀로 살지 못하고 합하는 세력도 없을 때는 旺한 기세에 따르는데, 방해하는 세력이 전혀 없고 官殺이 旺하므로 從殺格을 이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