二. 食傷 旺

       식상왕.jpg

                1.水                                                              2.木

식상왕1.jpg                  식상왕2.jpg

               3.火                                                              4.土

식상왕3.jpg                  식상왕4.jpg

               5.金

식상왕5.jpg

食傷이 旺할경우 日主는 身弱이 기본 출발이므로 기세 적으로 조화를 이루려면 印綬로써 용신을 하는 방법밖에 없다. 즉 印綬로 약한 日主를 生함과 동시에 旺한 食傷을 견제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印綬가 없거나 작용력이 무력하여 조화를 이룰 수 없을 때는 化, 從을 해야 하는데 식상으로 從할 때는 從兒格을 이루므로 財星이 용신이 된다. 물론 財星이 食傷의 세력을 泄氣하지 못하고 모든 세력이 食傷으로만 집중되어 있다면 그때는 食傷 자신이 용신이 되는 一氣格으로 從兒用兒格이 된다.

格의 이름이나 특징은 통변에서는 참고하고 활용하지만 용신을 잡는데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본다. 즉 상황에 따라 어느 格名이라도 붙일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易이란 隨時應變하는 것이지 고정 불변은 아니다. 혹자들이 책에 있는 글을 보고 지나치게 그 문자에만 집착하는 경우가 있는데 모든 사람이 저마다 사주라는 시간과 공간의 특징을 갖고 살고 있는데 어떻게 정해진 몇 가지 틀에만 의존하여 모든 命造를 설명할 수 있단 말인가. 자연은 자연인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