從勢格(종세격)

1. 구성 요건

1)일반적인 從格과 마찬가지로 日主가 無印, 無根, 無肩劫으로 홀로 살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2)柱中에 식상과 재성, 관살의 세력이 비슷하여 어느 세력이 旺한지 구분이 어려운 구성이다.

3)命造 구성상 식상과 관살사이에 재성이 위치하여 서로 相生으로 이어지고 있을 때 가능하다.(體性 기준)

2. 用神 定法

종세격.jpg

1)재성이 식상과 관살 중간에서 통관 相生을 시켜주므로 재성을 用神으로 한다.

2)재성 運이 가장 吉하며 관살 運으로 行함이 두 번째이고 식상 運은 그 다음으로 吉하다.

예)

癸 壬 乙 丙                                                     辛 庚 己 戊 丁 丙

卯 午 未 辰                                                      丑 子 亥 戌 酉 申

이 命造는 火土가 當權하고 또한 木이 生助를 만났으며 五行中에 金이 없어 水는 極弱이니라. 初交 丙申, 丁酉運에 火가 蓋頭하여 申酉金으로 하여금 水를 生하지 못하게 하므로 財産이 아울러 旺했고 戊戌運에도 家業이 풍요로 왔으며 己亥運은 土가 無根이지만 도리어 기쁜 것은 地支가 木局을 이루어 비록 破耗가 있었으나 大患은 없었으며 一交 庚子運하여 집안도 破하고 죽었느니라.                               [滴天隨 旺衰篇]

1.日干 : 壬水

壬水가 未月에 生하여 身弱한데 받쳐주는 인수도 없고, 뿌리는 辰中의 墓庫에 들어있어 자신을 지키기가 어렵다. 여기에 다시 丙火가 沖을 하니 기세에 從할 수밖에 없는 형국이다.

2.旺者 : 木, 火, 土

1)木

時支의 卯木이 未月이라 墓宮으로 약해 보이지만 陰木의 生은 午月이며, 천간의 乙木이 未土에 올라앉아 土氣를 견제하고 다시 卯木이 卯未, 卯辰으로 合하여 뿌리를 내리므로 결코 약하다 할 수 없다.

2)火

未月은 여름으로 火氣가 강하지만 三伏中生寒이며 濕土인 辰土가 억제하니 기세가 약간 위축되는 모습이다.

3)土

未月로 月支를 차지하고 午火의 生을 받아 旺함이 유력하다. 그러나 乙木이 未土에 뿌리를 내리고 卯木의 견제를 당하니 반드시 旺한 것만은 아니다. 그러므로 木, 火, 土의 세력을 공히 旺하다고 보면 되겠다.

3.體性 : 養生之象

印綬가 없고 日主의 세력도 무력한 가운데 어느 한 세력이 특별히 旺한 것이 아니고 木火土가 공히 旺 하므로 전체 구성을 살펴 體性을 택하면 되겠다. 일단 木이 水火의 도움을 받아 살아 있으며 나타난 오행을 최대로 활용해야 하므로 養生之象의 體性이 가장 합당하다. 내가 사느냐, 못 사느냐의 문제 이전에 체성을 우선하는 구성이다.

 

4.기세적 격국 용신

                 종세격1.jpg
1)從勢格은 특성상 從格의 구성 요건인 印綬와 日主의 작용력 이 없어야한다.

2)세력이 어느 한 세력으로 모이지 않고 식상, 재성, 관살이 비슷하게 되어있으므로 從兒, 從財, 從殺 중의 하나로 결론짓지 못한다.

3)從格이란 이미 자신을 버린 상태이므로 印綬와 日主 외에 食, 財, 官을 모두 활용하는 구성으로 생각하면 된다.

4)용신 정법은 食傷을 官殺로 통관시켜주는 財星이 用神이 되 며 官殺이 두 번째, 食傷이 세 번째 喜神이 된다. 그러므로 丙火를 용신으로 한다.

5)초운 丙申, 丁酉 운은 파격 운인데 재산이 旺했다고 하는 것은 비록 종격이지만, 未月은 가을과 연계가 되며, 伏中生寒(복중생한)으로 土의 세력이 바탕을 이루므로 변격이 형성되어 平, 喜的 작용이 나타난 것으로 보면 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