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從兒格

1. 구성 요건

1)柱中에 식상이 旺하고, 日主는 극약(無根, 無印, 無肩劫)하여 홀로 살지 못할 때, 旺한 食傷으로 따라가는 구성을 말한다.

2)食傷은 나의 자식으로, 자식에게 따라가 사는 것이 되므로 日主의 세력이 있어도 從이 가능하며 이때는 내가 從하려는 食傷을 剋하는 印綬의 세력이 없거나 무력해야 한다.

3)인수나 견겁의 세력이 있어도 體性적으로 從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인수가 견제하는 만큼 濁이 된다.

4)모든 命造에서 從格의 기준은 體性이 우선이다.

5)식상은 나의 자식(兒)에 해당하므로 從 식상이라 하지 않고 從兒(종아)라 칭한다.

2.用神 定法

종아격.jpg
1)내가 자식과 함께 살아갈 때 내 자식의 자식(兒又生兒)인 손 자가 반드시 필요하듯이 재성를 用神으로 하는 것을 기본으 로 한다.(從兒用財格)

2)식상이 旺할 때 인수가 나타나 있지 않아도 인수를 取用하 여 조화격이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조화격과 從兒格의 구별 에 주의해야한다.(行運之用神: 기준은 體性)

4)從兒格도 용신이 財이며, 從財格도 용신이 財이므로 역시 구 별에 주의해야한다.

*從兒格일 때

재성이 용신이고 식상이 희신인데 견겁 운이 왔을 때 旺한 식상을 통해 相生(食神生財)으로 이어지므로 견겁 운을 희신 또는 平 운으로 본다.

 

*從財格일 때

旺한 재성으로 따라갔는데 견겁 운이 오면 극약한 日主가 從한 재성을 손상시켜 파격이 되므로 최대의 凶 운이 된다. 단 柱中에 식상의 구성 有無에 따라 變用할 수는 있다.

 

5)인수 운이 파격이지만 무조건 흉이라 하지 말고 체성을 기준하여 변격으로 조화격화 하여 활용할 수 있는지 살펴야 한다. 왜냐하면 가종격에서는 양은 작지만 경우에 따라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단 그 전까지는 그 양만큼 濁으로 본다.

6)인수 운 시 변격으로 조화격 化 했을 때는 통변도 조화격으 로 달리해야 한다.

 

3.通辯(통변)

1)적극적인 활동으로 재물을 취하라.

2)열심히 노력하는 중에 좋은 결과가 주어진다.

3)명예를 추구하는 貴格 보다는 재물을 취하는 富格이므로 官 (체면, 명예)을 앞세우지 마라.

4)富를 취해도 몸은 고단하니(身弱한데 泄氣되므로) 건강에 주 의하라.

5)乾命

(1)처덕, 처가(장모) 덕이 있으니 일찍 결혼하라.

(2)두뇌보다는 육체 활동이 많은 직업에 맞는다.

(3)처가를 가까이하고 처가와 함께 일을 추진해야 得財에 이 롭다.

4)坤命

(1)가정적이기 보다는 사회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

(2)직선적이고 성급한 성격으로 부부간의 갈등이 많고 독신 가능하다.

(3)자식에 대한 관심이 지나쳐 집착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상 대적으로 남편에 대한 애정이 부족 되기 쉽다.

5)印綬 運

(1)파격이므로 극도의 주의를 요하며 부동산이나 이동, 보 증, 주식, 투기 등으로 큰 손해를 보거나 집안에 파란이 생 길 수 있다.

(2)자식에게 흉사가 발생한다.

(3)믿었던 사람으로부터 도와준다는 유혹에 빠져 손해를 보기 도 한다.

(4)가종격은 조화격 化되어 활용이 가능하지만 정격에서의 喜 神 운에 비해 양이 작으므로 하던 일의 외세 확장을 자제 하고 내실을 다져라.

(5)활동을 접고 엉뚱하고 비현실적인 공부에 매달리거나, 부 모님이나 윗사람, 또는 가정의 우환으로 인하여 활동에 장 애가 생긴다.

(6)부동산 투자에 돈이 묶이거나 가격이 하락하여 현금 순환 이 안 된다.

6)식상, 재성 운이 오면 바쁜 활동으로 재물은 늘어나는 반면 건강은 나빠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